top of page

신경심리학이란...

 

신경심리학은 사고와 정서를 포함한 심리적 과정 및 행동이 뇌의 구조와 기능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탐구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이 분야는 행동, 사고, 뇌 기능 간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건강과 질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고자 하며, 뇌의 정상적인 기능과 손상에 대해 다각적인 연구와 평가를 수행합니다.

신경심리학의 연구 대상은 정상군과 임상군을 모두 포함하며, 연구 주제 또한 매우 광범위합니다. 학문적 접근 방식에 따라 크게 세 가지 하위 분야로 나뉘는데, 실험신경심리학, 임상신경심리학, 그리고 인지신경심리학이 그것입니다.

  • 실험신경심리학은 실험적 방법을 통해 신경계와 인지 기능, 정서, 신체 반응 간의 관계를 탐색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이 심리적 기능, 정신장애, 건강에 미치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합니다.

  • 임상신경심리학은 질병, 장애, 또는 외상으로 인해 신경인지 기능에 손상을 입은 개인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관리 및 재활을 지원하기 위해 신경심리학적 지식을 적용합니다. 특히, 임상신경심리학자는 정신장애 치료에 심리학적 관점을 도입하여, 질병과 외상이 심리적 요인에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를 이해하려 노력합니다.

  • 인지신경심리학은 비교적 최근에 발전한 분야로, 실험 및 임상신경심리학의 융합을 통해 탄생했습니다. 이 분야는 뇌 손상이나 신경학적 질환을 겪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며, 신체와 정신의 상호작용 및 기능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신경심리학적 기능에 대한 이론적 접근 중 하나는 기능적 국소화(functional localization) 모델입니다. 이는 특정 인지적 손상이 특정 뇌 부위 또는 영역의 손상과 관련되어 있다는 원리에 기반합니다. 그러나 뇌의 기능은 이보다 훨씬 복잡하며, 최근에는 다양한 뇌 영역 간의 연결성과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신경 네트워크 이론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정신질환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정상적인 뇌 기능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려는 시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인지신경심리학은 비교적 최근에 발전한 분야로, 실험신경심리학과 임상신경심리학의 융합을 통해 형성되었습니다. 이 분야는 뇌손상이나 신경학적 질환을 겪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며, 신체와 정신의 상호작용 및 그 기능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뇌 영역 간의 상호 연결성과 협력적 작용에 주목하는 신경 네트워크 이론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 이론은 뇌 기능을 개별 부위의 고립된 활동이 아닌, 복잡한 연결망 속에서의 통합적 작용으로 이해하려는 접근입니다. 특히 정신과 환자 및 정신질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정상적인 뇌 기능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려는 시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인지신경심리학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 신경심리 연구실은...

우리 신경심리 연구실의 주요 연구 주제는 크게 정서, 정신병리, 그리고 중독이며 서로 중첩되는 연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위의 주제를 토대로 우리연구실에서 진행하고 있는 연구의 파라미터는 행동관찰 및 주관적 보고, 신경인지기능, 그리고 신체측정치입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 주제는 구체적으로 외로움과 신경인지기능, 성중독 및 관계중독, 알코올 중독 등이 있습니다.

© 2025 b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Neuropsychology Laboratory. 

bottom of page